필수영단어
- timeliness : 시기적절함
- timely : 시기적절한
- incident : 사건
- consecutive : 연속적인
- readiness
- variation : 변형
- stumble : 발을 헛디디다
- arbitrary : 임의적인
- eligible : 가질(할) 수 있는
- synchronous : 동기
- asynchronous : 비동기
THU/AUG/23 Distributed System
3.2.3 SYNCHRONOUS VS ASYNCHRONOUS SYSTEMS
넓은 의미의 동기는 동기화된 클럭과 단단한 시간적 관계가 있는 계산을 가지는 송수신자들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하지만 좀 더 자세히 보면 동기에 여러가지 면이 있고 완전히 비동기인것을 완전한 동기모델로 바꾸는 것은 점진적인 것이다. 동기시스템을 특징화하는 동작들에는
Synchronous clocks : 동기화된 클럭을 가지는 시스템에서 모든 프로세서들의 지역 클럭은 같은 시간을 보이고 있다. 클럭들은 완전벽하게 동기화될수는 없기 떄문에 약한 동기화된 클럭의 개념은 실제 시간으로부터 지역클럭의 이동속도가 알려진 상한선이 가지는 것이다.
Synchronous channels : 채널이 동기화되었다고 하는것은 채널을 따라 message propagation delay에 알려진 상한선이 있는 것이다. 이런 채널들은 또한 bounded-delay channels이라고도 알려져있다.
Synchronous message order : 메세지가 동기화되었다는것은 수신자가 송신자가 보낸 순서대로 수신할 때를 말한다.
Synchronous communication : Synchronous communication에서 송신자는 수신자가 받을 준비가 되었을 떄만 보내고 이 역도 마찬가지이다. communication이 비동기일때는 송수신자간의 협력따윈 없다. 메세지 숫자 i는 보냈던 전 메세지인 i-1이 이미 받아졌는지 신경안쓴다. 이런 타입의 동작은 non-blocking send operation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blocking send방식에서 메세지는 보내는 사람이 받는 사람으로부터 준비되었음을 알리는 acknowledgment가 날라온 후에야 보내진다. Synchronous communication은 송수신자 프로세스들간의 handshaking방식과 연관이 있다. 실제 생활에서 편지로 주고받는것은 비동기 communication의 좋은 예고 전화통화는 동기 communication의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동기 communication은 synchronous message passing으로도 알려져 있다.
Real-time systems : 실시간시스템은 인풋에 대해 시기적절하고 예상가능한 방법으로 응답하기를 요구하는 특별한 분산 시스템의 영역을 구성한다. 시기적절한것은 여기서 중요한 문제이고 데드라인을 맞추지 못하는 것은 보통 큰 비용이 따른다.
'컴퓨터과학 > Distributed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roduction to Distributed System (0) | 2012.08.23 |
---|